★ 2차원 배열 전역변수로 선언하기 ★
프로그램을 만들다보면 전역변수로 써야할 일이 많은데요.
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.
M=vector<vector<int>>(n,vector<int>(n,0)); 에서 n이 두번 쓰였어요!
첫번째 n은 행의 개수이고, 두번째 n은 열의 개수입니다.
마지막 0은 생성한 vector의 원소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는 의미입니다~
★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 ★
resize(int n) | n만큼 vector의 원소 개수를 만들고, 그 값을 0으로 초기화합니다. |
push_back(int n) | n을 vector의 맨 마지막에 추가합니다. vector의 크기는 1 증가합니다. |
at(int index) | vector 원소중 index번째 원소의 값을 반환합니다. |
[int index] |
at의 기능을 포함하고, =연산자로 값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. vector 사이즈보다 큰 index로 접근하면 에러발생 |
reserve(int n) | vector에 n만큼 사이즈를 할당합니다. |
empty() | vector가 비었는지 검사합니다. 비었으면 true, 원소가 존재하면 false를 반환합니다. |
'Algorithms > C++ ST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lgorithm 라이브러리 [C++ 코딩테스트 대비] (0) | 2020.08.27 |
---|---|
C++ STL::Queue::Priority_Queue (0) | 2019.08.31 |
C++ ::string (0) | 2019.08.31 |
C++ STL::Queue (0) | 2019.07.04 |